🚗수소자동차
- 전기자동차와 달리 수소를 주입해 전기를 생산
- 화학반응이 필요함
ex) 현대 넥쏘의 경우 1회 충전으로 600km 주행이 가능해짐. 고압연료탱크 제작 비용이 고가인 것이 한계. 85도 이하로 관리 해야 함. 수소자동차의 효율은 39%정도로 전기 자동차에 비해 매우 낮은 편.
대형 차량의 경우 고용량 배터리를 탑재 시 충전 시간이 길어지고 배터리 무게로 인한 주행 거리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. 이를 보완하기에 수소 자동차가 적합하다.
수소차 충전소 찾기 :
아직 까지는 Infra가 매우부족하다.
수소의 종류
- 그레이 : 화석연료로 생상된 수소
- 블루 : 그레이에서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을 적용한 수소
- 그린수소 :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수전해 방식으로 제조한 수소
🚗도심항공 모빌리티(UAM)
💡문제 : 현재 도시화율의 증가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 중임. 그에 따라 교통, 주거 등의 문제가 발생.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가 교통
💡해결 방법 : 도시 항공 모빌리티를 만들어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.
💡발전동향 : 기존 내연기관을 활용한 전통적 플라잉카를 극복한 드론과 항공기의 결합한 플라잉카가 나오고 있다.(활주로 필요X)
PAV(개인용 비행체)
UAM 이동 수단이 개인용 비행체로 정립이 됨
- 운용기준에 따라 공중비행만 가능한 싱글모드, 공중에서 비행과 도로주행이 가능한 듀얼모드로 구분
- 이착륙 방식에 따라 STOL, VTOL로 구분 가능
🚗하이퍼루프
터널 형태의 진공 튜브에 캡슐 형태의 차량(Pod)이 움직이는 운송 수단.
주요 특징
- 튜브 : 아진공(지표면 공기압의 1/1000) 상태
- 인프라 : 튜브 연결부 설계 기술, 하이퍼루프 교량 설계 기술
- 캡슐형차량 : 아음속 비행 자체
- 운행제어 통신 시스템 : 초고속 데이터 통신 기술
- 트랙 : 자기력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 방식. 레일 위에 떠서 이동함.
장점
- 속도 : 1000km/h 이상
- 탄소 배출 : 0g
- 기상 영향 : 5%
- 운행 횟수 : 30회/시간
🚗SDV : Software Defined Vehicle
자동차 패러다임의 변화
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및 하드웨어 중심의 구조 → 플랫폼 기반의 자동차 산업 (전기차, 소프트웨어 중심 구조)
- 친환경화 : 탄소 중립의 기조 강화로 신규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
- 지능화 : 차량 안전 및 편의 기능 고도화, 자율 주행등의 기술 발전
- 서비스화 : 스마트폰 및 O2O(Offline to Online) 플랫폼 확산
CES(미국 가전박람회) 에서도 모빌리티가 등장하기 시작함.
CES에 등장한 자동차 회사 별 발전 방향
- 현대 : 현대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센터인 포티투닷은 새로운 SDV 전기전자 아키텍처 및 핵심기술을 소개함.
- 폭스바겐 : 챗GPT를 통합한 차량 공개. 세렌스와 협업하여 DIA 음성 어시스턴트가 AI 데이터베이스에 접근.
- 메르세데스 벤츠 : 자사 운영체제 MB.OS에 기반한 MBUX 기상 어시스턴트 공개
- 혼다 : 혼다 0시리즈를 공개하며 지능형 기술을 통해 SW 중심의 모빌리티 구현 실현
SDV 의미 및 부상 배경
차량 Electrification으로 내연기관 부품 공간 확보 가능 → 다른 공간으로 활용 가능해짐.
SDV 구현을 위한 핵심요소
- 차세대 전기전자 아키텍처 : 분산형 제어 시스템 보다 도메인 집중구동형, 영역 집중형 아키텍처를 지향
- HW 플랫폼 : AI기반 SW활용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 필요, 고성능 프로세서 기반 HW 플랫폼 마련 필수
- SW 플랫폼 : 서비스 추가, 변경, 삭제를 지원하는 유연성 필수. 최적화된 OS 플랫폼 확보 필수
전기 전자 아키텍처의 변화
분산형 아키텍처 → 기능별 집중화된 아키텍처(중심 집중화) → 영역 집중화 된 아키텍처(파트 간 통신 방식)(추구)
차량 OS 시장 구성
- ADAS & Autono-mous Driving
- Infotainment
- Embedded SW : Engine Management & PowerTrain, Body Control & Comfort, Data Management, Vehicle Management & Telematics
💡 (현재)
점유율 1위 QNX(블랙베리) : UNIX 프로그램
점유율 2위 리눅스(Open Source, 개발의 편의성, 최적화 쉬움, 확장성)
점유율 3위 윈도우
점유율 4위 안드로이드(모바일 시장에서 이미 검증됨)
미래 주로 사용 될 것 같은 OS : 안드로이드. 범용성이 매우 크기 때문
OS 시장 내 주요 주체별 대응 동향과 사례
- 전통적인 완성차(현대자동차 그룹, 폭스바겐, 볼보)
자체 및 외부 OS 채택 혼재.
- 차세대 완성차(테슬라, 샤오펑)
자체 OS 개발 및 전세계적으로 판매량 확대에 주력
- 빅테크(애플, 구글)
인포테인먼트 OS 중심으로 자사 OS를 완성차 생태계 내 확대 노력
구글 : 안드로이드 오토
애플 : 카플레이
- 차량용 SW 전문(블랙베리)
자체 OS 개발 및 보안 측면 강조. ADAS,AD OS 점유율 확대에 방점
- 오픈소스 생태계(Linux)
OS 개발 기반 기술 제공 (인포테인먼트 OS 중심)
LINUX : AGL(Automotive Grade Linux) 플랫폼 수행. https://www.automotivelinux.org/
🚗모빌리티 서비스
개념
ICT 기술의 발달에 따른 첨단 서비스를 접목해 새로운 교통 서비스를 창출한다.
(참고 : ICBM(IoT, Cloud, Big Data, Machine Learning))
💡 UNCTAD(UN Trade and Development)에서 정의한 스마트 모빌리티
접근성, 안전성, 효율성이 향상된 교통시스템이며 카쉐어링, 카풀링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 형태
현재 교통체계의 문제점
- 편리성
-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교통수단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 (접근성)
- 이동 중에 이용자의 육체적/정신적 노동이 얼마나 소요되는 지(노동 강도)
- 교통수단에 대한 관리(관리)
- 신속성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효율적인 이동을 목적으로 구축된 교통체계에서 신속성 확보는 매우 중요함.
- 안정성/환경성 교통체계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적 요인, 인적 요인, 차량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고, 차량의 배출가스가 대기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침.
- 쾌적성 교통수단 이용시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보안, 안락함, 여가활동 가능성으로 구분할 수 있음.
모빌리티 혁신의 필요성
- 기후변화
- 고령화와 공유 경제의 성장
- 기술 발달
- 사회적 양극화
- 승용차 판매 감소와 차량 생산 감소 : 차량공유 서비스의 발전은 차량구매 필요성을 더 떨어뜨림
- 렌터카 이용의 증가 : 5년 새에 두배로 증가. 내 차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 줄어듦
- 운전면허증 보유 감소 추세
- 라스트 마일 서비스의 확산 : 개인형 교통수단 (PMD) 의 확대
모빌리티 서비스 혁신 방향
국내외 공유교통체계 동향
- 카카오모빌리티와 티맵모빌리티가 해외 이동 서비스와 관련한 투자 및 신사업 계획을 내놓고 있음
자율 주행 자동차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발전
- 자율 주행형 등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
- 차량과 로봇의 결합을 통한 운송서비스(프랑스 리옹 공항)
한국 자동차 산업의 현황
- 전동화 탑티어(Top-tier) 도약
- SDV로의 전환 가속화
- 목표 지향형 기술 개발을 통해 주행거리, 전비, 가격, 디자인 등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전기 수소차 개발 추진
- 안정적 공급망 구축
-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(IRA)에 민,관 합동으로 총력 대응하여 이번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으로 인한 우리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
-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민, 관 공급망 공조를 강화하고, 핵심품목 국산화
-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
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부품 경쟁력 제고